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ocker
- volume inspect
- jetson nano OS
- docker exec
- SD card Formmatter
- 디렉터리 용량
- docker run hello-world
- win32 disk imager
- 듀얼 부팅 #ubuntu 18.04 #windows 10
- 크기 정렬
- 젯슨나노
- docker pytorch
- docker volume mount
- 디렉터리 출력
- Jetson Nano
- OS error
- ubuntu docker
- docker 설치
- OEM installation error
- 디스크 용량 확인
- 듀얼부팅
- BalenaEtcher
- docker image 명령어
- cuda10.0 cudnn7.5 pytorch
- volume create
- ubuntu18.04
- windows 10
- exec와 attach
- docker container 명령어
- torch/torch
- Today
- Total
따라해보Git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2 (버전 결정, USB) 본문
#주의사항 : 두서없이 생각나는 대로 작성했습니다..
설명이 매우 난해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작성하였다면 말씀주세요!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0. 이전 포스트
2020/09/27 - [따라해보Git/듀얼 부틩?] - [Ubuntu] Windows 10 듀얼부팅 -1 (목적, 이유)
1. 목차(neck KICK)
- 목적, 이유 [듀얼부팅 -1, 완료]
- 우분투 버전 결정하기 [듀얼부팅 -2, 현 포스트]
- 윈도우에서 부팅유에스비 만들기 [듀얼부팅 -2, 현 포스트]
- 윈도우에서 미리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것을 알아보기(부팅형식_AHCI등) [듀얼부팅 -3, 예정]
- 파티션 나누기 [듀얼부팅 -3, 예정]
- 설치하기 [듀얼부팅 -3, 예정]
2. Ubuntu version 결정
우분투 버전을 결정하는 것은 사실 본인 마음입니다.. 그런데 우분투 설치후 어떤 프로그램을 같이 돌릴 것인가에 따라서 버전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ROS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다? 그러면 ROS에서 제공되는 우분투 버전을 확인을 해야겠죠.. (음.. 전에 UR로봇을 아주 잠깐 다룰 기회가 있어서 찾아봤는데 그 때는 ubuntu16.04에는 지원을 해주고 18.04는 지원예정 이렇게 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그 페이지를 찾을 수가 없네요..) ROS 관련된 것도 언젠가 따로 공부를 하면서 작성을...
우분투 공식홈페이지 가면 20.04 LTS 버전을 설치할 수 있네요.('20.09기준) 하지만 저는 18.04를 설치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최신버전도 좋지만 최신버전은 중간중간 버그가 생기면 오류를 잡아주는데 가끔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그래도 조금이라도 안정화가 된 18.04를 설치할 것입니다. (뭐 사실 엄청난 작업을 할 게 아니면.. 최신버전 설치해도 상관은 없겠죠?)
처음에 홈페이지 들어가면 예전 버전이 어딨는지 찾기가 어려우실 수도 있으니 여기 링크를 남깁니다.
링크 들어가면 아래 그림과 같이 예전 버전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18.04.5 LTS (바이오닉 비버) 클릭해서 들어가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x.iso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3. 부팅 USB 만들기
사실 부팅 유에스비 만드는 방법은 인터넷에 엄청~ 많이 있습니다. 저도 그 중에서 Refus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 다른 선구자 분께서 작성하신 포스트가 큰 도움이 되었기에 제가 따로 작성하지 않겠습니다.
한 가지 말씀드려야 할 부분이.. 아래 그림에서 파티션 방식에 관한 것입니다.
파티션 방식이 MBR 또는 GPT 인데요. 이게 만약 본인의 컴퓨터의 파티션 방식과 맞지 않다면 나중에 우분투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grub이 생성되지 않아 부팅이 안된다던가 / 아니면 듀얼부팅인데.. 윈도우 선택없이 바로 우분투로 실행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제가 그랬거든요... grub생성이 안 될경우, 해결방법이 따로 있지만 구글링을 하셔서 검색해보시면 많은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3.1 MBR / GPT 확인
가지고 있는 pc가 MBR인지 GPT인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 정도가 있어요. 하나는 CMD들어가서 확인, 하나는 디스크 속성들어가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1) CMD 이용
- window + R 눌러서 "실행" -> CMD -> 엔터(확인)
- diskpart 엔터
- list disk 엔터
- 확인
위 그림과 같이 GPT에 "*"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GPT인거죠. 그래서 refus에서 부팅 usb를 만들때 gpt로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아보입니다.
# Dyn(MBR)은 동적디스크인데.. 깊게 들어갈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저도 찾아봐야해서 ㅋㅋ)
# MBR <-> GPT 서로 변환이 가능한데 이거로 변환해가면서 하면 되는지 까지는 잘 모르겠어요.
예전에 해본거 같긴한데 아마 결국은 괜히 건드리지 말고 원상태로 돌려놓은 거 같아요...
(2) 컴퓨터 관리 이용
- window + R 눌러서 "실행" -> diskmgmt.msc -> 엔터(확인)
- 설치하고자 하는 드라이브 "우" 클릭, 속성(P) 클릭
- 확인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디렉터리 용량 단축키 (0) | 2020.12.02 |
---|---|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3 (BIOS "RAID to AHCI") (0) | 2020.09.27 |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1 (목적, 이유)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