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ocker image 명령어
- docker 설치
- docker run hello-world
- 듀얼 부팅 #ubuntu 18.04 #windows 10
- 디렉터리 출력
- exec와 attach
- SD card Formmatter
- cuda10.0 cudnn7.5 pytorch
- volume create
- BalenaEtcher
- Jetson Nano
- docker container 명령어
- docker volume mount
- docker
- docker exec
- ubuntu18.04
- 크기 정렬
- win32 disk imager
- jetson nano OS
- 디렉터리 용량
- OEM installation error
- 젯슨나노
- 디스크 용량 확인
- 듀얼부팅
- windows 10
- docker pytorch
- ubuntu docker
- OS error
- volume inspect
- torch/torch
- Today
- Total
따라해보Git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1 (목적, 이유) 본문
#주의사항 : 두서없이 생각나는 대로 작성했습니다..
설명이 매우 난해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작성하였다면 말씀주세요!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1. 설치 목적
우분투를 설치하려는 목적은 개인마다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컴퓨터를 새로 맞추면서(2019년) 그래픽카드를 기존에 가지고 있는 것보다 사양이 높은 것으로 했었는데 막상 구매하고 컴퓨터 게임을 안 하게 되면서 거의 영화나 유튜브 보는 용도로만 사용하게 되었죠... (사실 듀얼부팅은 예전에 다른 곳에 잠깐 재직할 때, 필요에 의해서 듀얼부팅을 처음으로 하게 되었었고 그때 생각지도 못한 상황(개고생) 이 펼쳐지며 몇번을 지웠다 깔았다 했는지...)
하지만 또 시대에 뒤쳐지면 안 되니 공부도 좀 해야 하고,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2019년도에 처음 설치해보고 최근에 한 번 더 개인컴퓨터에 설치를 했는데 잘 기억이 나질 않네요...)
2. 꼭 듀얼부팅을 해야하나?
사실 듀얼부팅으로 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도 존재는 합니다.. 관련해서 구글링을 좀 하다 보면
(1) VM을 설치해서 한다든가
(2) Docker를 설치해서 한다든가
(요즘은 윈도우에서도 제공이 되네요! 설치해봤는데 win10 home / pro 따라 설치방식이 다릅니다.)
크게 위와 같이 두 가지 정도가 있겠네요.
(1) VM설치의 경우, VM은 virtual machine의 줄임말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OS(Win10)에 가상으로 OS를 하나 더 올린다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네요. 음... 예를 들면 노트북은 윈도우10을 사용하는데 학교과제나 아니면 다른 과제 등에서 Linux계열의 OS가 필요하게 되었어요. 그런데 윈도우10이 너무 익숙하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내용들을 모두 날리고 싶지 않아요. 그래서 OS를 하나더 설치하고 싶은데 잘 모르겠어요. 그냥 대충 올려서 사용해 볼래요. 정도의 예시가 될 수 있겠네요. 아니면 윈도우10을 기본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데, MAC을 한번 설치해서 사용해보고 싶어요. 그래서 윈도우10위에 MAC을 설치하기로 하였어요. 등등 기존 윈도우가 켜져있는 상태에서 다른 OS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입니다.
(어디선가 들었는데 윈도우10위에 MAC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들었던 거 같기도 하네요.. MAC에서 윈도우10올리는게 더 쉽다고 했었었나.. 작성자는 MAC을 사용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실관계를 전혀 모릅니다!)
(2) Docker설치의 경우, docker는 예전에 써보려고 노오력은 해봤으나... 생각보다 어려웠어서 안 했습니다. 근데 또 요즘 배워보고 싶어서 따로 공부 후에 나중에 미약하게나마 아는 것을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하지만 예전에 처음 우분투 설치했을 때 GPU 쓰려면 nvidia-driver, cuda, cudnn을 설치하면서 항상 같이 따라 나오는 게 docker인데. docker를 사용하면 cuda, cudnn을 버전에 상관없이 그냥 설치해서 사용하면 된다고 하니 좋아 보이긴 하네요. 그런데 제가 전에 기억하기로는 docker-image가 버전당 약 10G 정도 했던 거 같네요.. 여하튼 docker는 꼭 한 번쯤은 해보고 싶었던 것이니 언젠가 공부해서 올려볼 수 있도록..
하지만, 듀얼부팅을 하려고 하는 제일 큰 이유는 Ubuntu를 사용하여 GPU를 더 잘 활용하기 위해(오래전부터 많은 분들의 연구 덕에 소스가 많음)인데 VM을 설치하면 GPU를 사용할 수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기술력이 좋아졌는지 사용할 수 있다는 말도 어디선가 본거 같네요.. ) 제가 보고 들은 것은 거의 다 레퍼런스를 앞으로 달 수 있게 수정을 좀 하겠습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기억이 조작되지 않았다면) VM설치 후 nvidia-driver가 설치가 안된다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제 나름대로의 결론은,
- CPU만 가지고 해도 무리가 없다 : 그냥 윈도우에서 작업 또는 VM설치 후 작업
(노트북이라면 그냥 VM 설치해서 씁시다. GPU 달린 게이밍 노트북이라면 고민을..)
- CPU/GPU 모두 쓸 거야^-^ : 윈도우 또는 듀얼부팅
(오히려 nvidia-driver나 cuda설치는 윈도우가 익숙해서 더 설치가 쉬움)
- GPU 쓰고 멋쟁이처럼 보일 거야 : 듀얼부팅, Only Ubuntu 또는 Ubuntu 설치하고 그 위에 윈도우 설치
3. 결론
듀얼부팅을 하자. 그리고 멋쟁이가 되어보자.
감사합니다.
이후 예상 포스트 순서
- 우분투 버전 결정하기
- 윈도우에서 부팅유에스비 만들기
- 윈도우에서 미리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것을 알아보기(부팅형식_AHCI등)
- 파티션 나누기
- 설치하기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디렉터리 용량 단축키 (0) | 2020.12.02 |
---|---|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3 (BIOS "RAID to AHCI") (0) | 2020.09.27 |
[Ubuntu18.04] Windows 10 듀얼부팅 -2 (버전 결정, USB)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