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uda10.0 cudnn7.5 pytorch
- windows 10
- jetson nano OS
- volume inspect
- volume create
- OS error
- 듀얼부팅
- docker image 명령어
- 디스크 용량 확인
- torch/torch
- OEM installation error
- docker exec
- ubuntu docker
- docker pytorch
- 크기 정렬
- Jetson Nano
- 듀얼 부팅 #ubuntu 18.04 #windows 10
- 디렉터리 용량
- win32 disk imager
- 젯슨나노
- docker volume mount
- ubuntu18.04
- docker
- exec와 attach
- SD card Formmatter
- 디렉터리 출력
- docker 설치
- docker container 명령어
- BalenaEtcher
- docker run hello-world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volume create (1)
따라해보Git

작성일 : '20.12.03 1. Volume mount 의미 및 잡담 - volume을 mount 한다는 의미는 말 그대로 도커에서 작업한 내용을 로컬에도 같이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 많은 경우에 여러개의 docker 컨테이너가 하나의 저장 공간을 공유해서 데이터를 읽거나 써야 하는데, 이는 이렇게 생각해 볼 수 도 있을 것 같네요. 우선 데이터를 한 공간에 넣고 그 데이터를 pytorch 컨테이너에서도 돌려보고 아니면 tensorflow 컨테이너에서도 돌려보고 이렇게도 해볼 수 있겠군요. 사실 docker hub에 가보면 torch, tensorflow 등등이 모두 한 번에 들어가 있는 image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너무~ 용량이 큽니다.. 예를 들면 docker hub에..
프로그래밍/Docker
2020. 12. 3. 22:09